아래사이트를 클릭하여 동영상 300K나 56K를 클릭하시면 뜸에 대한 KBS방송을 다시 볼 수 있습니다.광고 2편은 봐 주셔야 합니다. 1분이 걸리네요.
http://www.kbs.co.kr/1tv/sisa/whatever/vod/1498466_1075.html
인간이 불을 사용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는 뜸치료!
살갗위에 쑥이나 약재를 태워 가벼운 온열로 자극을 주던 뜸은 침과 함께 수 천년동안 각종 질병치료에 이용되어왔던 우리의 전통 치료요법 중의 하나인데!
최근에는 뜨겁지 않은 침은 물론, 초보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각종 뜸기구와 뜸재료들이 선을 보이면서 집에서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고 하는데..
손발도 시리고 무릎도 시리고 온몸에 찬기운이 느껴지는 요즘..
뜨끈한 뜸 한자리로 몸 안의 냉기를 몰아내는 것은 어떨까?
뜸의 종류와 재료, 질환별 뜸 놓는 자리에서부터 뜸을 놓는 구체적인 방법과 주의점까지 뜸에 대한 궁긍증을 속시원히 풀어봅니다.
<출연연사>
김용석 교수 (경희대 한의대 침구과)
금동호 교수 (동국대 한의대 한방재활의학과)
<패널>
김한국
<방송내용>
1. 무조건 뜬다, 뜸?
(1) 뜸의 유래
(2) 계절과 뜸의 관계
(3) 침 VS 뜸 VS 부황
(4) 뜸이 효과적인 경우 VS 피해야 할 경우
2. 나에게 맞는 뜸을 찾아라!
VCR - 뜸치료의 효과 실험
(5) 뜸의 효능
(6) 뜸혈 위치
(7) 침혈과 뜸혈의 차이
(8) 부인과 질환과 뜸
(9) 뜸 뜰 때의 주의점
(10) 뜸 뜨는 순서와 횟수
(11) 소화기 질환, 호흡기 질환과 뜸
(12) 뜸 연기, 어떤 영향을 주나?
(13) 직접구와 간접구의 차이
VCR - 뜸의 종류와 재료
(14) 뜸의 재료와 효과
(15) 신경통 질환과 뜸
(16) 불면증과 뜸
(17) 뜸의 명현형상
3. 뜸뜰 때 주의할 점
(18) 뜸을 피해야 할 부위
(19) 뜸을 뜨기 전 주의 사항
(20) 뜸의 효과를 높이는 방법
(21) 노화를 예방해주는 뜸
(22) 배꼽뜸의 주의사항
(23) 마지막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