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며느리배꼽 |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학명 Persicaria perfoliata 꽃은 엷은 녹백색으로 7∼9월에 피고 수상꽃차례[穗狀花序]로 달리며 꽃이삭 밑에 잎 같은 포가 있다. 화피는 5개, 수술은 8개이며 암술은 3개이다. 열매는 달걀모양의 구형이고 다소 세모지며 윤기가 나는 흑색이고 육질화한 하늘색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성숙한 것을 약용으로 한다.
며느리배꼽 약효 효능 이용방안
▶어린 잎을 식용으로 하며 신맛이 있다.
▶전초는 강판귀, 根(근)은 강판귀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강판귀
①가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리거나 생것으로 쓴다.
②성분 : 전초에 flavonoidqoekdcp, anthra배당체, carbon산, tannin 및 당류(蔗糖(자당) 7.48%, 환원당 3.4%, 전분 2.88%)가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油(유) 3.3%, 瘦果(수과)에는 油(유) 12.47%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利水(이수), 消腫(소종), 淸熱(청열), 活血(활혈), 해독의 효능이 있다. 水腫(수종), 황달, 下痢(하리), 말라리아, 이질, 백일해, 淋濁(임탁), 丹毒(단독), 나력, 습진, 疥癬(개선)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생것은 25-50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患處(환처)에 붙이거나 분말로 고루 바른다. 또는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⑵강판귀근
①성분 : 根(근)과 莖(경)에는 indican 및 소량의 emodin과 chrysophanol이 함유되어 있고 根皮(근피)에는 33%의 tannin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口瘡(구창) 치료에는 생것 60g을 삶아 먹는다. 또는 생것을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痔瘡(치창), 瘻管(누관) 치료에는 생것을 24-37g(건조근 18-24g)을 볶아서(炒(초)) 식힌 후 番薯(번서-단고구마) 400-500g으로 1시간 동안 약한 불로 달여서 식전에 1일 1회씩 복용한다. 또는 猪肉(제육)의 붉은 살코기 120-180g, 番薯燒酒(번서소주) 300-360g을 같이 약한 불로 2시간 동안 달여서 1일 1회 식전에 복용한다.
|
촬영 2009년 8월 3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