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제사(忌祭祀)의 순서(順序)
경인년 새해아침
◈ 강신(降神) : (신위(神位)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게 청하는 것.)
① 촛불 켬 ② 제수진설, 초헌관 점시진실(初獻官 點時陳設)
③ 지방모심 ④ 향 피움(焚香) ⑤ 제주재배(祭主再拜)
⑥ 제주 끓어앉음 ⑦ 좌 (左)집사가 빈잔 앞으로 냄
⑧ 우(右) 집사가 잔에 술을 조금 붓는다.
⑨ 제주는 모사 그릇에 3번 나누어 붓는다.
⑩ 빈잔을 다시 좌 집사에게 돌려 줌
⑪ 잔 처음위치에 놓음 ⑫ 제주재배(祭主再拜)
◈ 참신(參神), 제관 등 전원 재배
◈ 초헌(初獻) : (첫잔 드리기)
①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끓어 앉으며
② 좌 집사가 제상의 빈잔을 제주에게 드리면
③ 우 집사가 잔에 술을 가득 붓는다.
④ 제주가 좌 집사에게 잔을 다시 돌려주면
⑤ 좌 집사는 잔반(盞盤)을 고위 신위부터 제상에 올린다.
⑥ 저(箸)를 고른다.(정저-젓가락을 모아서 제상에 3번 탕탕 친다)
◈ 독축(讀祝) : (축문 낭독)
① 축관이 제주의 좌측에서 동쪽을 바라보며 끓어 앉아서 읽는다.
② 제주이하 모든 제관은 부복(끓어 엎드림)하고 독축이 끝나면 모든
제관은 일어나고 초헌관은 재배하고 복위한다.
◈ 아헌(亞獻) : (버금잔 드리기)
주부(主婦) 또는 근친자 초헌과 같이 잔을 올림 - 아헌자 재배
◈ 종헌(終獻) : (끝잔 드리기)
집안 어른 또는 근친자
잔을 가득 채우지 않고 7홉 반쯤 부어 올림 - 종헌자 재배
◈ 첨작유식(添酌侑食) : (잔 채우기)
재주가 다시 신위 앞에 끓어 앉으며 종헌때 채우지 않은 잔에 세 번
나누어 첨작 한다. - 제주재배(祭主再拜)
◈ 계반삽시(啓飯揷匙)
① 밥(메)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는다.
② 숟가락 바닥이 동쪽으로 향하게 중앙에 꽂음(東向揷匙)
◈ 합문(闔門)
① 문을 닫는다.(제관은 문밖으로)
② 구식경(九食頃) - 아홉술 드실 수 있는 시간
③ 3번 기침(삼회 엄)
◈ 계문(啓聞) : 문을 열고 들어온다.
◈ 헌다(獻茶) : (숭늉 올리기)
① 국그릇을 물그릇으로 바꾸어 올리고
② 밥을 조금씩 3번 떠서 말아놓음(숟가락을 물그릇에 담가 둠)
③ 3숟가락 드실 동안 기다림
◈ 철시복반(撤匙覆飯)
① 물그릇의 수저를 내리고 밥(메)그릇 뚜껑을 덮는다.
② 제관 등 전원 재배
◈ 사신(辭神) : (신에 대한 작별인사)
지방(紙榜), 축(祝) 불사름, 문밖에 나가 전송함.
◈ 철상(撤床) : (제상 정리)
상을 걷는 것을 말한다.
◈ 음복(飮福) : (복받기)
음복이 끝나면 제복을 벗고 담소해도 무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