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설,추석 차례지내는법 참조 하세요

겨스 2010. 9. 22. 00:12


 설, 추석 차례지내는 법

* 설과 추석은 명절(名節)이다. 제삿날이 아니다. 따라서 차례(茶禮)라고 한다.

◎ 설은 새해를 맞이하는 기쁜 날,

일가친척이 모두 모여 푸짐하게 음식을 차려놓고, 조상님께는 감사의 예(禮)를 올리고, 웃어른들께는 만수무강하심을 비는 세배(歲拜)와 만수금(萬壽金)을 올리고, 반면에 웃어른들은 후손들에게 “복을 받으라.”는 덕담(德談)과 세뱃돈(복)올 내리는 축복(祝福)의 날인 것이다.

◎ 추석은 오곡백과(五穀百果)가 풍성한 8월 한가윗날,

햇곡으로 떡을 빚고 술을 담그고 통통히 살이 오른 가축을 잡고, 잘 익은 햇과일들로 푸짐하게 차려놓고, 일가친척이 모두 모여 조상님들께는 감사의 예(禮)를 올리고, 일가친척 모두가 따뜻한 정을 나누며 마음껏 먹고 마시며, 즐겁게 노는 기쁨의 날인 것이다.

따라서 설과 추석에는 제삿날과는 달리 제례(祭禮)법 같은 것에 구애받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지방도 전 조상님을 모셔놓고 지내는 날이라 현 전조상님 신위 라 한 장으로 쓰고. 설에는 떡국 3그릇. 추석에는 밥 3그릇에 송편 1그릇을 차리고. 기타는 일반제사상 차리는 법에 따라 차리면 되는 것이며, 기타 아무 것이라도 푸짐하게 차리면 되는 것이다.

왜 3그릇이라고 했는가하면, 설이나 추석은 전 조상님을 모시는 차례(茶禮)임으로 떡국이나 송편 등을 많이많이 차려야 하는데, 그렇게 할 수 없음으로 모든 것, 전부라는 뜻의 3그릇만 차리라는 것이다. 물론 9그릇을 차려도 된다. (아래의 설, 추석 차래 상 참고)

그리고 설과 추석에는 무축단작(無祝單酌)이라 하여 독축을 하지 않으며, 아헌, 종헌, 합문을 생략하는 것이다. 즉 술도 제주만 한잔씩 올리고 (9잔을 차렷을 땐 어른들이 나누어 올려도 된다.) 그 외 가족들은 모두 첨작으로 한잔씩 올리는 것이며, 조상님들 식사시간에도 나가지 않는 것이다. 왜냐하면 제사 때는 조상님께서 편히 식사하시도록 밖에 나갔으나, 명절에는 전 조상님과 후손들이 모두 모여 함께 즐긴다는 뜻에서 나가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추석에는 온 가족이 조상님의 산소에 다녀오면 좋은 것이다.

1.신(焚香降神)

분향은 향을 피운다는 뜻이며, 강신은 조상신께서 내려오셨다는 뜻이니,

향을 피워 조상님들을 모셔 들이고, 모두가 "어서 오십시오." 을 하는 것이다.(첫 번째 절). (향을 피우면 향을 따라 조상님이 오신다고 믿었던 것임),  ※지방도 “현 전조상님 신위”라고 1장만 쓴다.

2.참신(參神)

신께서 참석하셨다는 뜻이니,

천지신명께 “조상님제사를 지내고자 하오니. 굽어 살피소서”라며 술을 잔에 조금 따라 향을 쏘인 후 땅에 붓고 모두가 을 하는 것이다.(2번째 절).

※ 향을 쏘이면 그 제물(祭物)이 신에게 도달한다고 믿었던 것임. * 실내에서는 방바닥에 술을 부울 수 없으니 그릇에 풀과 모래를 담아놓고 땅이라 하고 거기에 부었던 것이다. 그래서 이 그릇을 "풀 우거질 모(芼)자와 모래 사(沙)자를 붙여 모사그릇"이라고 했던 것이다. 요즘은 풀, 모래를 넣지 않고도 모사그릇이라고 한다.

3.무축단작(無祝單酌)

축도 안 읽고, 술도 한잔씩만 올린다는 뜻이니,

축문(祝文)을 읽지 않으며, 술도 한잔씩만 올리는 것인데, 설과 추석은 전 조상님을 모시는 것이니, 술잔도 전부라는 뜻의 3잔을 치리는 것이며,(9잔을 올려도 된다.) 각 잔에 한번씩만 술을 올리는 것인데, 제주 혼자서 올려도 되고 어른들이 나누어 올려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첨작(添酌)은 그 외 참석자 모두가 조금씩 더 올리는 것이며, 모두가 절을 하는 것이다.(3번째 절).

4.계반삽시(啓飯揷匙)

밥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는다는 뜻이니,

밥그릇(떡국) 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고 "맛있게 잡수세요."라 하며 모두가 을 하고(4번째 절) 그 자리에 앉는다. ※ 제사 때는 신께서 편히 식사하시도록 모두가 나가고 문을 닫았으나, 설과 추석은 조상님과 후손들 모두가 함께 먹고 마시며 즐긴다는 뜻에서 나가지 않는 것이다. * 설에는 밥 대신 떡국을 차린다. 추석에는 밥도 차리고 송편도 차리는 것이 원칙이다.

5.헌다(獻茶)

차를 올린다는 뜻이니,

물을 올리는 것인데, 이때에도 “물에 말아 더 드십시오.”라는 뜻에서 밥을 3번 떠서 물에 말아 드리고 모두가 을 하는 것이다.(5번째 절)

* 떡국일 때는 말아 드리지 않는다.

6.사신(辭神)

신을 보낸다는 뜻이니

"안녕히 가십시오.” 속 인사를 하고 지방을 불사르고 (사진일 때는 거두어들이고) 모두가 을 하는 것이다.(6번째 절)

7.철시복반(撤匙複飯)

수저를 거두고 밥뚜껑을 덮는다는 뜻이니,

수저를 거두고 밥뚜껑을 덥고,

8.철상음복(撤床飮福)

상을 거두고 복을 마신다는 뜻이니,

제사상을 거두고 다시 일반상차림으로 차려놓고 (김치 고추장도 갖다 놓고) 음식을 먹는 것인데, “조상님께서 제사음식을 잡수시고 거기에 복을 가득가득 채워놓고 가셨으니” 그것을 먹으면 복을 받는다고 음복(飮福)이라고 하는 것이다.



◎  설 차래 상

신 위

촛불

 

지방

 

촛불

1열 주식

 

떡국.

떡국.

떡국.

 

2열 고기

소고기(산적)

돼지(수육)

닭(삶음)

조기(찜)

3열 부침

동그랑땡

야채부침

간장

두부부침

생선포부침

4열 나물

고사리

도라지

숙주나물

물김치

5열 과일

대추

사과

곶감

과일

/한과

과일

/한과

 

 

 

 

 

향불

주전자

모사그릇

 

 

산에서

생산된 것

들에서

생산된 것

집에서

생산한 것

집에서

가공한 것

바다에서

생산된 것


★ 떡국 제사라 조기나 김 같은 것은 없어도 된다. 그러나 구색을 맞춘다는 점과, 제사 후에 밥을 먹을 사람들을 위해 차리는 것이 좋다. 그리고 5열의 과일이 없을 시는 한과도 좋다.



◎  추석 차래 상


신 위

촛불

 

지방

 

촛불

1열 주식

 

송편

송편

송편

 

2열 고기

소고기(산적)

돼지(수육)

닭(삶음)

조기(찜)

3열 부침

동그랑땡

야채부침

간장

두부부침

생선포부침

4열 나물

고사리

도라지

숙주나물

물김치

5열 과일

대추  

사과

포도

/참외

수박

 

 

 

 

 

향불

주전자

모사그릇

 

 

산에서

생산된 것

들에서

생산된 것

집에서

생산한 것

집에서

가공한 것

바다에서

생산된 것

 

 

 

차례상 차리기
 

 



 

 
 
  추석 차례의 순서
 
분향재배 강신재배(降神) 참신(參神) 계반삽시(啓飯揷匙)
초헌(初獻) 아헌(亞獻) 종헌(終獻) 유시
헌다(獻茶) 철시복반(徹匙復飯) 사신(辭神) 철상(撤床)
음복(飮福)            

 


분향재배


1. 제주가 제상 앞에 정중하게 무릎을 꿇고 공손하게
2. 두손으로 향불에 분향을 한뒤 절을 두번한다.
 

 

강신재배(降神)


1. 강신이란 신위(神位)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기를 청한다는 뜻이다.


2. 제주 이하 모든 사람이 손을 모아 서있고,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하고


3. 집사자가 술을 술잔에 차지 않도록 조금 따라 제주에게 주면


4. 제주는 받아서 모사 그릇에 3번으로 나누어 붓고 빈 잔을 집사자에게

 

   돌려 보내고


5. 일어나서 2번 절한다.


6. (향을 피우는 것은 위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요,


   술을 모사에 따르는 것은 아래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라 한다.)
                                                                                                                           

 

참신(參神)


1. 참신이란 강신을 마친후 제주이하 모든 참신자가 함께 2번 절하는 것을

   말한다.
2. (신주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 지방(紙榜)인 경우에는 강신(降神)을

    먼저한다.)
 

 

계반삽시(啓飯揷匙)


1. 메(밥)그릇의 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는 것을 말하는데 수저는 동쪽을

    향하게 꽂는다.
2. (수저 바닥이 동쪽을 향하게 하여 꽂는다.)
 

 

초헌(初獻)
1. 초헌이란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한 후
2. 집사자가 잔을 제주에게 주면 제주는 잔을 받아 집사자가 잔에 술을

    따르면
3. 제주는 강신할 때와 같이 오른손으로 잔을 증어 모사에 조금씩 3번

   기울여 부은 다음
4 양손으로 받들어 집사자에게 주면 집사자는 그것을 받아서 제상에 올린다.
[ 먼저 고위(考位 : 아버지위) 앞에 올린다.]
                                                                                                                            

  아헌(亞獻)
1. 아헌이란 2번째 올리는 잔을 말한다.
2. 2번째 잔은 주부가 올리는 것이 예의이지만 올리기 어려울 때에는
3. 제주의 다음가는 근친자나 장손이 올린다.
4. (주부가 올릴 때에는 4번 절한다.)
 
  종헌(終獻)
1.종헌이란 3번째 올리는 잔을 말하는데,
2. 종헌은 아헌자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아헌때의 예절과 같이 한다.
3. 집안에 따라서는 아헌과 종헌때에도 적을 올리는 경우가 있다.
                                                                                                                            
 

유시
1. 첨작(添酌)이라고 하는데 첨작이라 함은 종헌자가 채우지 않은 술잔에
2. 제주가 무릎을 꿇고 다른 잔에 술을 조금 따라서 좌,우측 사람을 통하여

    술을 가득 채우도록 한다.
 

  헌다(獻茶)
1. 숭늉을 갱과 바꾸어 올리고
2. 메(밥)을 조금씩 3번 떠서 말아 놓고 정저한다.
3. 이때 메에 꼿아 놓은 숟갈을 숭늉그릇에 반드시 담그어 놓는다.
 
  철시복반(徹匙復飯)
1. 철시복반이란 숭늉그릇에 있는 수저를 거두고
2. 메(밥) 그릇을 덮는 것을 말한다.
                                                                                                                            
  사신(辭神)
1. 참사자 일동이 2번 절하고
2. (신주일 경우에는 사당에 모시고) 지방과 축문을 불태운다.
 
  철상(撤床)
1. 철상이란 상을 걷는 것을 말하는데,
2. 모든 제수(祭需)는 뒤에서 물린다.
 
  음복(飮福)
1. 음복이란 조상께서 주신 복된 음식이라는 뜻으로
2. 제사가 끝나면 참사자와 가족들이 모여서 시식을 한다.
3. 또한 친족과 이웃에도 나누어 주고
4. 이웃 어른들을 모셔다 대접하기도 한다.
출처 : 행복한세상
글쓴이 : ♡행복한세상♡ 원글보기
메모 :